이번 글은 깃허브와 디스코드를 연결하여 디스코드에서 깃허브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웹후크'에 대해 작성하고자 합니다.
웹후크를 설정하면 이슈를 생성하거나, PR을 요청했을 때 디스코드에서 알림이 가기 때문에 협업을 진행할 때에 매우 유용합니다.
이제 연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만약 해당 서버의 관리자가 아니라면, 관리자로부터 웹훅 권한을 얻은 뒤에 진행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웹후크 연동하기
1. 해당 서버를 우클릭 -> [서버 설정] -> '앱'의 [연동] -> [웹후크 만들기]를 선택해줍니다.

2. 웹후크 URL 복사를 클릭하여 URL을 복사해줍니다.

3. 웹후크를 연결하고자 하는 깃허브의 레포지토리에서 [Settings] -> [Webhooks] -> [Add webhook]을 클릭합니다.

4. Payload URL 부분에 아까 복사했던 URL 주소와 함께 /github를 추가해주고,
Content type은 application/json으로 변경해줍니다.
그리고 웹후크의 이벤트 트리거를 원하시는 것으로 설정한 뒤 'Add webhook' 버튼을 클릭하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저는 Send me everything으로 설정하여 이슈 생성, pr 요청 등의 모든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을 마치며 (0) | 2023.12.15 |
---|---|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 2기 합격 후기 및 꿀팁 (2) | 2023.08.08 |
이번 글은 깃허브와 디스코드를 연결하여 디스코드에서 깃허브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웹후크'에 대해 작성하고자 합니다.
웹후크를 설정하면 이슈를 생성하거나, PR을 요청했을 때 디스코드에서 알림이 가기 때문에 협업을 진행할 때에 매우 유용합니다.
이제 연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만약 해당 서버의 관리자가 아니라면, 관리자로부터 웹훅 권한을 얻은 뒤에 진행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웹후크 연동하기
1. 해당 서버를 우클릭 -> [서버 설정] -> '앱'의 [연동] -> [웹후크 만들기]를 선택해줍니다.

2. 웹후크 URL 복사를 클릭하여 URL을 복사해줍니다.

3. 웹후크를 연결하고자 하는 깃허브의 레포지토리에서 [Settings] -> [Webhooks] -> [Add webhook]을 클릭합니다.

4. Payload URL 부분에 아까 복사했던 URL 주소와 함께 /github를 추가해주고,
Content type은 application/json으로 변경해줍니다.
그리고 웹후크의 이벤트 트리거를 원하시는 것으로 설정한 뒤 'Add webhook' 버튼을 클릭하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저는 Send me everything으로 설정하여 이슈 생성, pr 요청 등의 모든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을 마치며 (0) | 2023.12.15 |
---|---|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 2기 합격 후기 및 꿀팁 (2)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