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of TruthUIKit과 SwiftUI의 차이점 중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SoT(Source of Truth)라고 생각합니다. UIKit에서는 데이터와 UI의 상태를 개발자가 직접 일치시켜줘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면 데이터와 UI가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지는 불일치 문제가 생기고, 이는 예측하기 어려운 버그의 원인이 되었습니다.하지만 SwiftUI에선 SoT라는 개념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SoT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데이터는 오직 한 곳에서만 관리되고, 모든 UI는 해당 데이터를 바라보며 자신(뷰)을 그립니다. 즉, 데이터가 변경되면 UI는 자동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데이터 불일치 문제가 차단되고, 코드 구조가 ..
데이터 변환의 불편함iOS 앱을 개발하다 보면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통화 및 퍼센트로 표시하는 등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게 됩니다. 저 또한 최근에 개발한 프로젝트가 가상 화폐와 관련된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Int64, Decimal 등의 데이터 타입의 변환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습니다. 보통 이런 상황에서 Extension이나 Formatter와 관련된 폴더 및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합니다.하지만 이러한 처리 로직이 프로젝트마다 다르게 작성되고, formatter 설정 방식도 일관되지 않다 보니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겪게 되었습니다. 특히, 같은 Decimal 타입이라도 어떤 화면에서는 소수점 없이, 어떤 화면에서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표현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이에 따른 fo..
모듈모듈이란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그룹화 단위로, 시스템을 기능 단위로 묶은 요소입니다. 또한 모듈은 컴파일 단위이자 배포 단위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System Moduleimport Foundation // Foundation 모듈import UIKit // UIKit 모듈import CoreData // CoreData 모듈 App Module앱 자체도 하나의 모듈입니다. 기본적으론느 앱의 Bundle Identifier가 모듈명으로, 별도의 import 없이 앱 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Framework Moduleimport Alamofire // 외부 프레임워크 모듈import MyFramework // 커스텀 프레임워크 모듈 Package Module..
[Silver II] 연속합 - 1912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76112 KB, 시간: 32 ms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제출 일자 2024년 1월 22일 00:35:22 문제 설명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임의의 수열이 주어진다. 우리는 이 중 연속된 몇 개의 수를 선택해서 구할 수 있는 합 중 가장 큰 합을 구하려고 한다. 단, 수는 한 개 이상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10, -4, 3, 1, 5, 6, -35, 12, 21, -1 이라는 수열이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정답은 12+21인 33이 정답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100,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
,(콤마)와 &&(앰퍼샌드) 스위프트 문법을 공부를 하다보면 if문에서 ,(콤마)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앰퍼샌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둘의 차이점에 대해 몰랐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이 둘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 우선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는 논리 연산자로, 여러 개의 boolean expression을 하나의 boolean expression으로 연산해줍니다. 예를 들어 true인 boolean A와 false인 boolean B가 있을 때, A && B는 두 개가 모두 참이어야 true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즉, 두 개(A와 B)의 boolean expression을 하나(false)의 boolean expression으..
이번 글은 UIKit 프레임워크를 스토리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코드 기반으로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토리보드와 코드 베이스에는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우선 스토리보드의 장점은 어노테이션이나 컴포넌트와 관련된 코드를 줄일 수 있어 로직에 더욱 집중할 수 있습니다. 뷰가 복잡해질 수록 관리할 코드가 줄어들기 때문에 관리하게 편해집니다. 또한 오토 레이아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어 오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스토리보드는 xml 기반이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가 확인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스토리보드를 수정하고 PR를 요청했을 때, 다른 개발자가 코드만을 보고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뷰에 컴포넌트가 추가되어 복잡해질수록 파일이 무거워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번 글은 SwiftLint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wiftLint란 SwiftLint란 스위프트 스타일 및 컨벤션을 강제하기 위한 도구로, Kodeco 스위프트 스타일 가이드에 대략적인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협업을 진행할 때, 컨벤션을 정하고 이를 준수하기 위해 코드 리뷰 등을 진행하지만, 컨벤션에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SwiftLint를 사용하면, 컨벤션에 맞지 않는 부분을 알려주기 때문에 컨벤션을 지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SwiftLint 사용하기 1. SwiftLint 설치하기 우선 SwiftLint를 사용하기 위해선 SwiftLint를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brew로 설치할 수도 있고, cocoapods로 프로젝트 자체에 추가해서 사..
12월 5일 파이널 쇼케이스를 끝으로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에서의 생활이 종료되었습니다. 나름 바쁘게 살아와서 그런지 9개월이란 시간이 매우 빠르게 지나갔다고 느껴졌는데, 이곳에서 경험한 것들을 까먹지 전에 정리하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글은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설명보단 각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 위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들에 대한 설명도 작성할 예정인데, 각 프로젝트마다 따로 작성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밑에서 나타나는 MC는 mini challenge의 약자입니다. Prelude & MC1 해당 기간에는 사실 새로운 사람들과 친해지고, 아카데미에 적응하는 기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오전반만해도 100명의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