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SwiftLint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wiftLint란 SwiftLint란 스위프트 스타일 및 컨벤션을 강제하기 위한 도구로, Kodeco 스위프트 스타일 가이드에 대략적인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협업을 진행할 때, 컨벤션을 정하고 이를 준수하기 위해 코드 리뷰 등을 진행하지만, 컨벤션에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SwiftLint를 사용하면, 컨벤션에 맞지 않는 부분을 알려주기 때문에 컨벤션을 지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SwiftLint 사용하기 1. SwiftLint 설치하기 우선 SwiftLint를 사용하기 위해선 SwiftLint를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brew로 설치할 수도 있고, cocoapods로 프로젝트 자체에 추가해서 사..
개요 앱 개발을 한다면 혼자서 개발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협업을 통해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iOS를 협업으로 진행해보신 분들은 아실 수 있는데, 협업을 진행할 때 다른 사람이 수정한 파일을 pull 받아서 실행하려고 하면 Bundle Identifier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실기기를 빌드할 수가 없는 경우를 겪을 수 있습니다. 혼자 개발할 때는 다음과 같이 Automatically manage sigining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기기를 실행시켜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Automatically manage signing을 선택해두면, xcode가 자체적으로 Provisioning Profile을 생성하고, 해당 Provisioning Profile에는 App ID, Certifica..
서버 알림 서버 알림(서버 푸시)은 앱 서버 또는 외부 서버에서 생성되고 디바이스로 보내지는 알림을 보내는 방법으로, 로컬 알림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지만 알림을 보내는 출처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서버 알림을 보내기 위해선 APNs을 등록해야만 가능합니다. APNs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APNs란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의 약자(보통 APN이라고 부릅니다.)로, third party 개발자가 앱에 푸시 알람을 보낼 수 있도록 Apple에서 만든 알림 서비스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third party란 푸시 서버를 말하는 것입니다. Apple은 푸시 서버가 직접적으로 앱에 알림을 보내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APNs에게 푸..
로컬 알림 로컬 알림(로컬 푸시)는 앱 내부에서 미리 만든 특정 메시지를 iOS의 알림 센터를 통해 전달하는 방법으로, 앱이 종료되어 있거나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도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로컬 알림은 iOS 스케줄러에 의해 발송되는데, 앱 내부에서 미리 메세지를 구성한 후 발송될 시간을 iOS 스케줄러에 등록해 두면 해당 시각에 맞추어 자동으로 발송합니다. 따라서 특정 시각에 뭔가를 알려주도록 처리할 때에도 로컬 알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컬 알림은 주로 앱 델리게이트 클래스에 생성하게 되면 앱이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알림을 줄 수 있어,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과거에 로컬 알림을 처리하는 객체는 UILocalNotification..
이 앱은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에서 진행한 MC3 프로젝트 때 개발한 앱입니다. 인원도 4명으로 제일 적었고, 해야할 것들도 매우 많았지만,,, 완벽한 팀원들 덕분에 배포까지 완료하였습니다 ㅎㅎ 하지만 배포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우여곡절이 많았고, 사실 아직 심사 중이기 때문에 리젝을 당할 수도 있지만,, 배포 과정을 직접 진행한 과정을 정리해두고 싶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우선 처음으로 배포 과정을 진행해보았는데, 배포 해보고 싶다는 저의 의견을 들어주신 팀원분들 감사드립니다 ^_^ (꾸벅) 과정 앱스토어 커넥트에 추가하기 우선 앱 스토어 커넥트에 들어가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한 뒤, 나의 앱을 선택해줍니다. + 버튼을 통해 신규 앱을 생성해줍니다. 앱 정보 입..
cocoapods CocoaPods is a dependency manager for Swift and Objective-C Cocoa projects. It has over 96 thousand libraries and is used in over 3 million apps. CocoaPods can help you scale your projects elegantly. 코코아팟이란 Swift와 Objective-C 코코아 프로젝트의 종속성 관리자입니다. 코코아팟은 96,000개의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으며 3백만 개의 앱에서 사용되고 있고, 당신의 프로젝트를 우아하게 확장시켜 줄 수 있다고 합니다(23년 8월 16일 기준). 코코아팟은 Ruby로 제작되어 있는데, 기본 Ruby는 MacOS에서 제공해..
NavigationStack A view that displays a root view and enables you to present additional views over the root view. iOS 16버전부터 업데이트된 NavigationStack에 대해 알아보고, 그와 관련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NavigationStack은 기존의 NavigationView를 대체할 것으로, 루트 뷰를 보여주고, 루트 뷰에 대한 추가적인 뷰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사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화면을 네비게이션 형태로 넘겨주는 것인데, 스택의 방식을 사용하여 넘겨주는 것입니다. 스택의 특징과 같이 Push, Pop, Pop to root view 등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다면 매우 유용합니다. @MainAc..
ViewModifier A modifier that you apply to a view or another view modifier, producing a different version of the original value. protocol ViewModifier Overview ViewModifier 프로토콜은 어떠한 뷰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modifier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SwiftUI를 통해 View를 만들 때, 글자 크기나 폰트 등이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코드를 작성할 때 각각의 특성을 모두 작성하게 된다면,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이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공통적인 특성을 묶어서 관리하고 원할 때마다 해당하는 공통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