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II] 스택 수열 - 1874
성능 요약
메모리: 75604 KB, 시간: 176 ms
분류
자료 구조, 스택
문제 설명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풀이
우선 한 번 입력한 값은 두 번 나오지 않기 때문에, 차례대로 값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지정해둡니다.
해당 변수(value)는 스택에 값이 추가될 때 숫자를 증가시킴으로 같은 값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값을 입력받고, 해당 값이 지금까지 추가한 변수(value)보다 작다면 스택에 값을 추가하고, +를 추가하고, 변수(value)를 증가시킵니다.
그리고 만약 스택에서 해당 값을 출력할 수 있다면 배열에서 제거하고, -를 추가합니다.
만약 출력할 수 없다면, NO를 출력합니다.
그리고 만약 NO가 아니라면 +와 -를 추가한 배열의 값을 출력합니다.
다음은 코드입니다.
let n = Int(readLine()!)!
var (stack, value, result, isOkay) = ([Int](), 1, [Character](), false)
for _ in 0..<n {
let input = Int(readLine()!)!
while value <= input { // 입력값보다 작다면
stack.append(value)
result.append("+")
value += 1
}
if stack.last! == input { // 만약 입력값을 뺄 수 있다면
stack.removeLast()
result.append("-")
}
else {
isOkay = true
print("NO")
break
}
}
if !isOkay { // NO가 아닐 때 (배열의 값을 모두 출력하였을 때)
for i in result {
print(i)
}
}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19539 사과나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5 |
---|---|
[백준(BOJ)] 11047 동전 0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4 |
[백준(BOJ)] 20922 겹치는 건 싫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백준(BOJ)] 21921 블로그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백준(BOJ)] 10828 스택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Silver II] 스택 수열 - 1874
성능 요약
메모리: 75604 KB, 시간: 176 ms
분류
자료 구조, 스택
문제 설명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풀이
우선 한 번 입력한 값은 두 번 나오지 않기 때문에, 차례대로 값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지정해둡니다.
해당 변수(value)는 스택에 값이 추가될 때 숫자를 증가시킴으로 같은 값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값을 입력받고, 해당 값이 지금까지 추가한 변수(value)보다 작다면 스택에 값을 추가하고, +를 추가하고, 변수(value)를 증가시킵니다.
그리고 만약 스택에서 해당 값을 출력할 수 있다면 배열에서 제거하고, -를 추가합니다.
만약 출력할 수 없다면, NO를 출력합니다.
그리고 만약 NO가 아니라면 +와 -를 추가한 배열의 값을 출력합니다.
다음은 코드입니다.
let n = Int(readLine()!)!
var (stack, value, result, isOkay) = ([Int](), 1, [Character](), false)
for _ in 0..<n {
let input = Int(readLine()!)!
while value <= input { // 입력값보다 작다면
stack.append(value)
result.append("+")
value += 1
}
if stack.last! == input { // 만약 입력값을 뺄 수 있다면
stack.removeLast()
result.append("-")
}
else {
isOkay = true
print("NO")
break
}
}
if !isOkay { // NO가 아닐 때 (배열의 값을 모두 출력하였을 때)
for i in result {
print(i)
}
}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19539 사과나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5 |
---|---|
[백준(BOJ)] 11047 동전 0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4 |
[백준(BOJ)] 20922 겹치는 건 싫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백준(BOJ)] 21921 블로그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백준(BOJ)] 10828 스택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