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IV] 스택 - 10828
성능 요약
메모리: 69500 KB, 시간: 28 ms
분류
자료 구조, 구현, 스택
문제 설명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
해당 문제는 배열을 하나 선언하고, 해당 케이스마다 그에 맞는 연산을 수행해주면 되는 문제입니다.
let n = Int(readLine()!)!
var stack = [String]()
for _ in 0..<n {
let input = readLine()!.split(separator: " ")
if input[0] == "push" {
stack.append(String(input[1]))
} else if input[0] == "top" {
if stack.isEmpty {
print("-1")
} else { print(stack.last!)}
} else if input[0] == "size" {
print(stack.count)
} else if input[0] == "empty" {
if stack.isEmpty {
print("1")
} else { print("0") }
} else if input[0] == "pop" {
if stack.isEmpty {
print("-1")
} else {
print(stack.last!)
stack.popLast()!
}
}
}
switch문을 사용하는 등 조금 더 깔끔한 풀이 방법도 있겠지만,
크게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였고, 어쨋든 풀리기 때문에 이정도로 하고 넘어갔습니다.
728x90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20922 겹치는 건 싫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
[백준(BOJ)] 21921 블로그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백준(BOJ)] 13164 행복 유치원 - 스위프트(Swift) (2) | 2023.08.31 |
[백준(BOJ)] 16953 A -> B - 스위프트(Swift) (0) | 2023.08.31 |
[백준(BOJ)] 11399 ATM - 스위프트(Swift)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