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V] 탑 - 2493
성능 요약
메모리: 106148 KB, 시간: 380 ms
분류
자료 구조, 스택
문제 설명
KOI 통신연구소는 레이저를 이용한 새로운 비밀 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실험을 하고 있다. 실험을 위하여 일직선 위에 N개의 높이가 서로 다른 탑을 수평 직선의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세우고, 각 탑의 꼭대기에 레이저 송신기를 설치하였다. 모든 탑의 레이저 송신기는 레이저 신호를 지표면과 평행하게 수평 직선의 왼쪽 방향으로 발사하고, 탑의 기둥 모두에는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탑에서 발사된 레이저 신호는 가장 먼저 만나는 단 하나의 탑에서만 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높이가 6, 9, 5, 7, 4인 다섯 개의 탑이 수평 직선에 일렬로 서 있고, 모든 탑에서는 주어진 탑 순서의 반대 방향(왼쪽 방향)으로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발사한다고 하자. 그러면, 높이가 4인 다섯 번째 탑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는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이 수신을 하고,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의 신호는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이, 높이가 5인 세 번째 탑의 신호도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이 수신을 한다.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과 높이가 6인 첫 번째 탑이 보낸 레이저 신호는 어떤 탑에서도 수신을 하지 못한다.
탑들의 개수 N과 탑들의 높이가 주어질 때, 각각의 탑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를 어느 탑에서 수신하는지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째 줄에 탑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1 이상 5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N개의 탑들의 높이가 직선상에 놓인 순서대로 하나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탑들의 높이는 1 이상 100,000,00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탑들의 순서대로 각각의 탑들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한 탑들의 번호를 하나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만약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탑이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풀이
i)
이중 for문을 통해 더 큰 빌딩을 저장하면서 출력하였습니다.
let N = Int(readLine()!)!
var buildings = [Int]()
var nums = [Int]()
var ans = ""
buildings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 Int($0)! }
for i in 0..<N {
var tallerBuilding = 0
for j in 0..<i {
if buildings[j] > buildings[i] {
tallerBuilding = buildings[j]
}
}
if tallerBuilding == 0 {
ans += "0 "
} else {
ans += "\(buildings.firstIndex(of: tallerBuilding)! + 1) "
}
}
print(ans)
→ 시간 초과
이중 for문으로 O(N^2)이기 때문에 시간 초과가 났습니다.
ii)
스택을 사용하였습니다.
- 스택에 값이 있는데, 현재 인덱스의 빌딩의 height보다 낮은 빌딩이 있다면 스택에서 제거해줍니다.
→ 스택에는 현재 빌딩보다 높은 빌딩들만 남겨두기위해서입니다. - 만약 스택이 비어있다면, 현재 빌딩보다 높은 빌딩이 없다는 뜻이므로 0을 추가해줍니다.
- 만약 스택이 비어있지 않다면, 현재 빌딩보다 height가 높은 빌딩 중 마지막 빌딩의 인덱스 + 1을 추가합니다.
- 완료 후, 현재 건물의 height와 index를 스택에 추가해줍니다.
let n = Int(readLine()!)!
let tops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 Int($0)! }
var (stack, ans) = ([(height: Int, index: Int)](), [Int]())
for (i, height) in tops.enumerated() {
while !stack.isEmpty && stack.last!.height <= height {
stack.removeLast()
}
if stack.isEmpty { // 스택에 값이 없으면 현재값보다 큰 값이 다 pop된 것
ans.append(0)
} else { // 스택에 값이 있으면 현재값보다 큰 값이 있다는 것
ans.append(stack.last!.index + 1)
}
stack.append((tops[i], i))
}
// MARK: - 배열 한 줄로 출력할 때 사용
print(ans.map { String($0)}.joined(separator: " "))
위 식의 시간 복잡도는 O(N)이므로 통과하였습니다.
- enumerated()
Returns a sequence of pairs (n, x), where n represents a consecutive integer starting at zero and x represents an element of the sequence.
for (n, c) in "Swift".enumerated() {
print("\(n): '\(c)'")
}
// Prints "0: 'S'"
// Prints "1: 'w'"
// Prints "2: 'i'"
// Prints "3: 'f'"
// Prints "4: 't'"
시간 복잡도: O(1)
enumerated() 함수 자체의 시간 복잡도는 O(1)이지만, 해당 컬렉션의 크기에 따라 O(N)이 될 수 있습니다.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1863 스카이라인 쉬운거 - 스위프트(Swift) (0) | 2023.08.28 |
---|---|
[백준(BOJ)] 1940 주몽 - 스위프트(Swift) (0) | 2023.08.25 |
[백준(BOJ)] 9711 피보나치 - 스위프트(Swift) (0) | 2023.08.15 |
[백준(BOJ)] 17218 비밀번호 만들기 - 스위프트(Swift) (0) | 2023.08.15 |
[백준(BOJ)] 11053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 스위프트(Swift)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