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IV] 단어 수학 - 1339
성능 요약
메모리: 79520 KB, 시간: 16 ms
분류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설명
민식이는 수학학원에서 단어 수학 문제를 푸는 숙제를 받았다.
단어 수학 문제는 N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어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각 알파벳 대문자를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하나로 바꿔서 N개의 수를 합하는 문제이다. 같은 알파벳은 같은 숫자로 바꿔야 하며, 두 개 이상의 알파벳이 같은 숫자로 바뀌어지면 안 된다.
예를 들어, GCF + ACDEB를 계산한다고 할 때, A = 9, B = 4, C = 8, D = 6, E = 5, F = 3, G = 7로 결정한다면, 두 수의 합은 99437이 되어서 최대가 될 것이다.
N개의 단어가 주어졌을 때, 그 수의 합을 최대로 만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1 ≤ N ≤ 1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단어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있다. 모든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알파벳은 최대 10개이고, 수의 최대 길이는 8이다. 서로 다른 문자는 서로 다른 숫자를 나타낸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단어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풀이
해당 문제를 풀기 위해선 가장 큰 값을 지닌 알파벳 순서대로 큰 숫자(9 ~ 0 순서)를 부여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ABC, BCD가 들어왔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를 더하기로 표시하면 100A + 10B + C와 100B + 10C + D = 110B + 100A + 11C + D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가장 값이 큰 B부터 차례대로 9, 8, 7, 6을 대입하면 최댓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i)
따라서 알파벳에 대한 딕셔너리를 만들어놓고, 해당 딕셔너리에 자리수에 대한 값을 대입해줍니다. (위의 식에선 B에 110, A에 100, ...)
그리고 해당 딕셔너리를 값(value)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차례대로 9부터 대입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import Foundation
let n = Int(readLine()!)!
var dict = ["A": 0.0, "B": 0.0, "C": 0.0, "D": 0.0, "E": 0.0, "F": 0.0, "G": 0.0, "H": 0.0, "I": 0.0, "J": 0.0]
var (res, num) = (0, 9) // 9까지의 범위
for _ in 0..<n {
let input = Array(readLine()!)
var power = Float(input.count - 1)
for char in input {
dict[String(char)]! += Double(pow(10, power)) // 배열을 자리수를 포함한 숫자로 변환하여 value에 저장 (ex. ABC -> (100 * A) + (10 * B) + (C))
power -= 1
}
}
var sortedDict = dict.sorted { $0.1 > $1.1 } // 내림차순으로 정렬
for char in sortedDict {
res += Int(char.value) * num // 최대값부터 차례대로 9부터 입력
num -= 1
}
print(res)
→ 런타임 에러
10까지만 숫자가 나타난다고 해서 알파벳 또한 J까지 나타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ii)
따라서 A~Z까지의 딕셔너리를 만들어주었습니다.
import Foundation
let n = Int(readLine()!)!
var dict = ["A": 0.0, "B": 0.0, "C": 0.0, "D": 0.0, "E": 0.0, "F": 0.0, "G": 0.0, "H": 0.0, "I": 0.0, "J": 0.0, "K": 0.0, "L": 0.0, "M": 0.0, "N": 0.0, "O": 0.0, "P": 0.0, "Q": 0.0, "R": 0.0, "S": 0.0, "T": 0.0, "U": 0.0, "V": 0.0, "W": 0.0, "X": 0.0, "Y": 0.0, "Z": 0.0]
var (res, num) = (0, 9) // 9까지의 범위
for _ in 0..<n {
let input = Array(readLine()!)
var power = Float(input.count - 1)
for char in input {
dict[String(char)]! += Double(pow(10, power)) // 배열을 자리수를 포함한 숫자로 변환하여 value에 저장 (ex. ABC -> (100 * A) + (10 * B) + (C))
power -= 1
}
}
var sortedDict = dict.sorted { $0.1 > $1.1 } // 내림차순으로 정렬
for char in sortedDict {
res += Int(char.value) * num // 최대값부터 차례대로 9부터 입력
num -= 1
}
print(res)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2812 크게 만들기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6 |
---|---|
[백준(BOJ)] 11000 강의실 배정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5 |
[백준(BOJ)] 19539 사과나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5 |
[백준(BOJ)] 11047 동전 0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4 |
[백준(BOJ)] 1874 스택 수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
[Gold IV] 단어 수학 - 1339
성능 요약
메모리: 79520 KB, 시간: 16 ms
분류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설명
민식이는 수학학원에서 단어 수학 문제를 푸는 숙제를 받았다.
단어 수학 문제는 N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어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각 알파벳 대문자를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하나로 바꿔서 N개의 수를 합하는 문제이다. 같은 알파벳은 같은 숫자로 바꿔야 하며, 두 개 이상의 알파벳이 같은 숫자로 바뀌어지면 안 된다.
예를 들어, GCF + ACDEB를 계산한다고 할 때, A = 9, B = 4, C = 8, D = 6, E = 5, F = 3, G = 7로 결정한다면, 두 수의 합은 99437이 되어서 최대가 될 것이다.
N개의 단어가 주어졌을 때, 그 수의 합을 최대로 만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1 ≤ N ≤ 1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단어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있다. 모든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알파벳은 최대 10개이고, 수의 최대 길이는 8이다. 서로 다른 문자는 서로 다른 숫자를 나타낸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단어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풀이
해당 문제를 풀기 위해선 가장 큰 값을 지닌 알파벳 순서대로 큰 숫자(9 ~ 0 순서)를 부여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ABC, BCD가 들어왔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를 더하기로 표시하면 100A + 10B + C와 100B + 10C + D = 110B + 100A + 11C + D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가장 값이 큰 B부터 차례대로 9, 8, 7, 6을 대입하면 최댓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i)
따라서 알파벳에 대한 딕셔너리를 만들어놓고, 해당 딕셔너리에 자리수에 대한 값을 대입해줍니다. (위의 식에선 B에 110, A에 100, ...)
그리고 해당 딕셔너리를 값(value)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차례대로 9부터 대입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import Foundation
let n = Int(readLine()!)!
var dict = ["A": 0.0, "B": 0.0, "C": 0.0, "D": 0.0, "E": 0.0, "F": 0.0, "G": 0.0, "H": 0.0, "I": 0.0, "J": 0.0]
var (res, num) = (0, 9) // 9까지의 범위
for _ in 0..<n {
let input = Array(readLine()!)
var power = Float(input.count - 1)
for char in input {
dict[String(char)]! += Double(pow(10, power)) // 배열을 자리수를 포함한 숫자로 변환하여 value에 저장 (ex. ABC -> (100 * A) + (10 * B) + (C))
power -= 1
}
}
var sortedDict = dict.sorted { $0.1 > $1.1 } // 내림차순으로 정렬
for char in sortedDict {
res += Int(char.value) * num // 최대값부터 차례대로 9부터 입력
num -= 1
}
print(res)
→ 런타임 에러
10까지만 숫자가 나타난다고 해서 알파벳 또한 J까지 나타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ii)
따라서 A~Z까지의 딕셔너리를 만들어주었습니다.
import Foundation
let n = Int(readLine()!)!
var dict = ["A": 0.0, "B": 0.0, "C": 0.0, "D": 0.0, "E": 0.0, "F": 0.0, "G": 0.0, "H": 0.0, "I": 0.0, "J": 0.0, "K": 0.0, "L": 0.0, "M": 0.0, "N": 0.0, "O": 0.0, "P": 0.0, "Q": 0.0, "R": 0.0, "S": 0.0, "T": 0.0, "U": 0.0, "V": 0.0, "W": 0.0, "X": 0.0, "Y": 0.0, "Z": 0.0]
var (res, num) = (0, 9) // 9까지의 범위
for _ in 0..<n {
let input = Array(readLine()!)
var power = Float(input.count - 1)
for char in input {
dict[String(char)]! += Double(pow(10, power)) // 배열을 자리수를 포함한 숫자로 변환하여 value에 저장 (ex. ABC -> (100 * A) + (10 * B) + (C))
power -= 1
}
}
var sortedDict = dict.sorted { $0.1 > $1.1 } // 내림차순으로 정렬
for char in sortedDict {
res += Int(char.value) * num // 최대값부터 차례대로 9부터 입력
num -= 1
}
print(res)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2812 크게 만들기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6 |
---|---|
[백준(BOJ)] 11000 강의실 배정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5 |
[백준(BOJ)] 19539 사과나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5 |
[백준(BOJ)] 11047 동전 0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4 |
[백준(BOJ)] 1874 스택 수열 - 스위프트(Swift) (0) | 2023.09.01 |